어느덧 자작 NAS를 사용한 지 10년이 지났다.
이제 NAS가 있는 생활이 당연하게 느껴지는데,
어쩌다 자작 NAS를 사용하게 되었는지라던가 업그레이드 왜 했는지,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등을 정리해보려 한다.
자작 NAS를 고려하는 사람들이 참조용으로 보면 좋을 것 같다.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중앙 집중식 파일 서버로, 여러 사용자가 Wi-Fi 또는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TCP/IP 네트워크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NAS 박스, NAS 장치, NAS 서버 또는 NAS 헤드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경량 운영 체제(OS)와 같은 몇 가지 구성요소를 사용합니다.
- 출처 : https://www.ibm.com/kr-ko/topics/network-attached-storage
자작 NAS 선택 이유
NAS를 고려하게 된 주 이유는 영상 자료를 TV에서 좀 더 편하게 보고 싶어서였다.
처음에는 PC에 저장된 영상을 외장하드에 복사해서 TV에 연결 후 재생했다.
그러다가 DLNA라는 기능을 알게 되어 PC에 DLNA 서버를 설치해서 외장하드에 복사하는 과정을 줄였다.
좀 더 욕심이 나서 PC를 켜지 않고 바로 볼 수 있는 방법을 찾다가 NAS를 알게 되었다.
NAS에 대해 검색하다 보니 "결국은 시놀로지다"라는 의견이 참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작 NAS를 선택한 이유는 저렴한 가격과 높은 자유도 때문이었다.
지금에 와서는 자작 NAS가 좋은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Linux에 대해서 익숙해질 수 있었고, 새로운 기술도 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2012년 CubieBoard

사양과 가격
SOC | AllWinner SOC A10, ARM® Cortex™-A8,1GHz, ARM® Mali 400 complies with OpenGL ES 2.0/1.1 |
Memory | 1GB DDR3@480MHz (960MTPS) |
Storage | NAND Flash, 4GB default, support TSD flash with SDIO interface |
TF Card | Micro SD card slot, up to 32GB |
SATA | Support 2.5 inch HDD/SSD up to 2TB |
Display | HDMI Port A, HDMI V1.4a, support 1080P@60Hz resolution output |
Ethernet | 10M/100M RJ45 |
IR | Infrared remote receiver Philips standard |
Audio | Support 3.5 headphone jack for Audio output, Support 3.5 jack for Line-In |
Power | DCIN 5V@2.5A power, Support USB power input |
Keys | Power key, Uboot key for reflashing the ROM |
LEDs | Power Led x 1, User Led x 2 |
Extended | I2C, SPI, RGB/LVDS for LCD, CSI/TS for camera, FM-IN, ADC, CVBS output, VGA, SPDIF-OUT, RTP, and some more |
Price | $49 |
당시 추천되는 입문용 시놀로지는 DS212j는 기기 자체만 해도 20만 원이 넘는 금액이었다.
NAS에 대한 욕구가 그리 크지 않았을 때라 살짝 맛만 보자는 생각으로 저렴한 Cubieboard를 구매했다.
라즈베리파이나 비글보드 같은 다른 싱글보드 컴퓨터들도 있었지만, SATA를 지원하는 Cubieboard로 선택하게 되었다.
집에 있던 250G 2.5인치 HDD와 SD카드를 활용해서 소요비용은 보드를 구매하는데 들어간 6만 원이 전부였다.
활용
- PC나 휴대폰, 태블릿에서 자료를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 NAS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TV에서 바로 볼 수 있도록 한다.
NAS에 설치
기능 | 설치 프로그램 | 설명 |
OS | Armbian Linux | ARM 보드용 가벼운 Linux를 배포해주는 아주 고마운 곳이다. |
FTP | pureftpd | PC나 휴대폰, 태블릿에서 자료를 업/다운로드가 가능하다. |
Samba | samba | 같은 네트워크 컴퓨터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 minidlna | 같은 네트워크의 재생장치(TV)에서 영상을 바로 재생가능하게 해준다. |
Torrent | transmission-daemon | Torrent 로 공유되는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휴대폰에 설치
기능 | 설치 프로그램 | 설명 |
FTP | CX 파일 탐색기 | NAS에 접속하여 자료를 업/다운로드가 가능하다. |
Torrent | Torrnado | 휴대폰에서 NAS에 torrent 자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
PC에 설치
기능 | 설치 프로그램 | 설명 |
FTP | Filezilla | NAS에 접속하여 자료를 업/다운로드가 가능하다. |
Torrent | Transmission remote | PC에서 NAS에 torrent 자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
Samba | 기본 탐색기 | PC에서 NAS를 하나의 드라이브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업그레이드 원인
사용하면서 FTP, DLNA와 같은 기능들에 익숙해지면서
웹서버를 올려보기도 하고, 워드프레스도 올려서 테스트를 했었다.
그러면서 용량이 부족해졌고, HDD를 구매할까 하면서 더 빠릿빠릿한 제품으로 바꾸고 싶어졌다.
그래서 이 제품은 부보님 댁에 설치해드리고, Cubietruck을 중고로 구매하게 되었다.
부모님 댁에 설치해드린 Cubieboard는 아직까지 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2015년 Cubietruck(Cubieboard3)

8만 원에 중고로 영입한 Cubietruck은 Allwinner A20으로 메인 칩셋이 업그레이드되고 1 Gbps를 지원했다.
2TB 2.5인치 하드를 달아서 설정해 주었다.
기존과 동일하게 설정을 했음에도 향상된 SoC와 네트워크 덕분에 더 쾌적했다.
그럼에도 워드프레스를 구동하기에는 성능이 부족했다.
웹서버는 포기하고 Cubieboard의 역할만 대체해서 3년간 훌륭히 역할을 수행했다.
업그레이드 원인
2.5인치 HDD의 용량에는 한계가 있었다.
3.5인치 하드를 추가하려고 했더니 별도 아답터를 사거나 전원부 개조가 필요했다.
3.5인치 HDD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바꾸기로 했다.
2018년 ODROID HC2

해외 직구로 8TB HDD를 구입해 놓고 ODROID HC2를 영입했다.
방열판과 케이스까지 제공해 주어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었다.
기존 NAS들을 사용하면서 이것저것 설치하거나 지우면서 설정이 꼬이고 이상 동작하는 것들을 경험했었다.
HC2를 처음 설정하면서 이 부분을 개선하고 싶었다.
그래서 찾아낸 방법이 Docker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설정하면서 Docker야말로 자작 NAS 운용에 안성맞춤이라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
잘 만들어진 docker image들을 가져와서 약간의 설정만 추가하면 원하는 기능이 쉽게 완성되었다.
현재는 HC2에서 한 번 더 업그레이드를 했는데, 그 부분에서 설치한 내용들을 정리해 보겠다.
업그레이드 원인
8TB의 넉넉한 용량을 즐기면서 자료들을 모으다 보니 용량이 부족해졌다.
HDD 추가를 고민하면서 ODROID HC4를 고려했지만,
Python 자동화를 공부하면서 웹크롤링을 하기에는 X86이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023년 데스크톱
당근에서 Pentium Gold G6400가 들어간 컴퓨터를 저렴하게 구매했다.
NAS용으로 쓸 거라 메인보드, 파워, HDD만 필요했기에 작은 케이스를 별도로 구매했다.
기존 NAS를 Docker로 설정한 덕분에 기존 HDD를 그대로 재사용이 가능했다.
14TB HDD를 추가해서 구성해 사용 중이다.
전력 사용량
X86으로 바꾸고 HDD도 추가해서 전력요금이 좀 걱정되어 스마트 콘센트로 측정해 보았다.
측정을 위해 사용한 스마트 콘센트는 알리에서 구매했다.
EU 모델인데 국내 콘센트에서도 헐겁지 않다는 후기를 보고 구매하게 되었는데, 사용량 측정이나 ON/OFF 가 원격으로 가능해서 아주 만족스럽게 사용 중이다.
https://www.aliexpress.com/item/1005005030648425.html?aff_fcid=f4168cd91655461f81700d3c5d5d39ff-1695165913235-03606-_DED1vOb&tt=CPS_NORMAL&aff_fsk=_DED1vOb&aff_platform=shareComponent-detail&sk=_DED1vOb&aff_trace_key=f4168cd91655461f81700d3c5d5d39ff-1695165913235-03606-_DED1vOb&terminal_id=24abd7c0e2d24a4b869daab799ba2188&afSmartRedirect=y
...
www.aliexpress.com

넉넉하게 20 kWh 정도로 잡더라도 월 4,000원 정도라 엄청난 부담은 아니었다.
기존 NAS들의 전력사용량도 측정했으면 비교해 봤으면 좋았을 텐데 조금 아쉽다.
설치 프로그램
기존 NAS에 있던 기능들을 대부분 Docker로 올려서 사용하고 있다.
추가한 프로그램들은 다음과 같다.
- rocketchat : 메신저가 막힌 시스템에서 지인과 사용할 용도로 설치했다.
- jdownloader : 자료를 다운로드하여서 옮기는 과정을 줄이기 위해 링크를 전달하면 NAS에서 직접 파일을 다운로드한다.
- qbittorrent : torrent 파일을 HDD로 직접 받는 것보다, SSD로 다운로드를 완료한 후에 HDD로 옮기는 방식이 전력 소모가 적다고 한다. 이 설정이 transmission 보다 꼼꼼하게 가능해서 qbittorrent로 변경했다.
- cpus, brscan : 구형 복합기를 NAS에 연결해서 네트워크 복합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복합기와 직접 연결되지 않은 장치에서도 프린터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고, SCAN을 하면 NAS의 특정 폴더로 바로 저장이 된다.
- python : 웹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체크해서 휴대폰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설치했다.
NAS에 설치
기능 | 설치 프로그램 | 설명 |
OS | Ubuntu 22.04 LTS | 웹크롤링, 매크로 등을 고려해서 Desktop 버전으로 설치했다. |
Docker | docker-ce | 어플리케이션 container를 구동할 수 있는 엔진 |
portainer | Docker를 웹 인터페이스로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
pure-ftpd | PC나 휴대폰, 태블릿에서 자료를 업/다운로드가 가능하다. | |
samba | 같은 네트워크 컴퓨터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
qbittorrent | Torrent 로 공유되는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해준다. | |
jdownloader | PC나 휴대폰에서 NAS에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한다. | |
rocketchat | 자체 메신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복합기 서버 | cpus | 복합기의 프린터 기능을 네트워크 프린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brscan | 복합기의 스캐너 기능을 네트워크 스캐너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웹크롤링, 매크로 | Python | 정해진 시간에 웹크롤링을 하고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개발 툴이다. |
휴대폰에 설치
기능 | 설치 프로그램 | 설명 |
파일 다운로드 | MyJDownloader | 휴대폰에서 링크를 전달하면 NAS에서 링크의 파일을 다운받는다. |
PC에 설치
기능 | 설치 프로그램 | 설명 |
파일 다운로드 | MyJDownloader | 크롬 확장 프로그램으로 링크를 전달하면 NAS에서 파일을 다운받는다. |
활용기
- 휴대폰에서 NAS에서 자료를 받도록 실행 (torrent, 파일 링크 전송)
- 대용량 자료를 받기 위해 오랜 시간 PC를 켜놓지 않아도 되게 되었다.
- TV Box에서 NAS에 있는 자료를 바로 TV로 재생
- TV가 스마트 TV가 아니라서 Android TV 박스를 구매해서 활용하고 있다.
- TV, Android TV박스를 스마트 콘센트에 연결해서 핸드폰으로 전원을 관리할 수 있다.
- 사용 중인 Android TV박스는 미박스를 사용하고 있다.
- 스마트 콘센트는 각 콘센트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제품으로 구매했다.
46.26US $ 42% OFF|Global Version Xiaomi Mi Tv Box 2nd Gen 4k Ultra Hd Google Tv Dolby Vision Hdr10+ Google Assistant Smart Mi Bo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www.aliexpress.com
36.29US $ 44% OFF|Wifi Smart Power Strip Intelligent Eu Plug Electrical Usb Sockets Wireless Timer Remote Independent Control By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www.aliexpress.com
- PC에서 받은 자료를 NAS에 업로드하고 외부에서 휴대폰이나 다른 PC에서 다운로드
- 정해진 시간마다 숙소 가격, 환율정보 확인하여 telegram 메시지로 전송
- 덕분에 여행에서 숙소 비용을 아끼고 환전을 유리하게 할 수 있었다.
- 여러 PC와 휴대폰에 저장되던 자료, 사진들을 통합 보관
후기
10년간 자작 NAS를 사용하면서 4번 기기를 변경했다.
약 3년 주기로 업그레이드에 대한 갈망이 생긴 것 같다.
데스크톱 버전에 오래 정착하기를 기대해 본다.
처음에는 과연 쓸모가 있을까 하면서 맛보기로 시작한 NAS가 이제는 거의 필수품이 되었다.
데이터의 안정성을 생각한다면 상용 클라우드를 유료로 사용하는 게 제일 좋을 것이다.
하지만 NAS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서
중요한 데이터는 상용 클라우드 무료 버전에 2중 백업을 하고
중요도가 그보다 못한 자료는 NAS에 저장하면 비용을 줄이면서 쾌적한 디지털 라이프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자작 NAS를 만드는 방법은 다른 글에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작 NAS - Docker로 환경 구축하기 (1) (0) | 2023.05.16 |
---|---|
홍콩관광청 주관 선착순 홍콩 항공권 이벤트 (0) | 2023.05.12 |
[서울 동작/사케바] 상도동 상도역 오니슈 (2) | 2023.05.02 |
현관키 스티커형 카드로 복사하기 (1) | 2023.04.27 |
[서울 강남/돼지고기] 삼성동 청담역 길목 (0) | 2023.04.16 |
무릎, 뒤꿈치 통증 병원 후기 (0) | 2023.03.31 |
3월 T데이 피자헛 50% 할인 (0) | 2023.03.29 |
댓글